퓨즈아트테라피


퓨즈는 오늘날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치유과정에 도움이 되고자 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을 개설한다. 아트테라피는 미술과 치료가 만나는 융복합 분야로 현대인의 정신건강과 치유, 더 나아가 삶의 질을 성장시키는데 목표를 둔다. 퓨즈아트테라피는 정신분석 미술치료 이론임상가, 테라피스트, 미술이론가들이 협업하여 새로운 형태의 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가고자 한다. 정신분석 미술치료는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신분석을 바탕으로 치료에 중점을 둔 (art IN therapy) 미술치료를 실시한다. 테라피스트 미술치료는 비언어적 표현의 작업과정을 통해 자신의 의식과 무의식을 발견하고 표현하며 자기치유에 중점을 둔다 (art AS therapy). 이 두 가지 방식을 통합하는 퓨즈아트테라피 강좌를 통해 참여자들은 전문가들과 다양한 층위에서 자신을 탐색하고 각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토론하며 새로운 치유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구성원 소개

정경희:
홍익대학교 회화과 및 동 대학원 회화과 졸업. 독일 드레스덴 예술대학 HfBK Kunsttherapie(예술치료) 석사과정 졸업. 개인전 5 회, 그룹전 100 여회. 독일의 병원, 장애인 사회지원 단체, 난민 지원단체 등에서 미술치료 및 프로젝트 참여 및 한국의 병원, 장애인 문화예술단체, 학교에서 미술치료 프로젝트 기획및 참여. 현재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미술치료 출강, 숙명여대 초빙대우교수



프로젝트

2016  

독일 Arnsdorf 신경정신병원 미술치료실
독일 Dresden Lebenshilfe

2015-2016  

독일 EAE 유럽난민을 위한 예술치료 프로젝트
2015 

Dresden 유럽여성난민을 위한 예술치료 프로젝트
독일 Dresden 한국어학교 미술음악 통합예술 프로젝트
인천적십자재활센터 미술치료
서울 참좋은 대안학교 어린이 열린미술교육
2014-2016

독일 드레스덴 장애인 예술창작-편집자 ‘카페파우제(Kaffeepause)




이수진:
아주대학교 대학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고 한신대 정신분석대학원에도 출강 중이다.
정신분석전문가와 미술치료전문가로서 정신분석미술치료연구회를 조직하여 교육, 개인분석, 집단상담, 슈퍼비전의 정신분석 실천을 하고 있다.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편집이사로 활동하며, 주요 연구관심은 정신분석학과 정신분석 미술치료학으로 관련 연구와 집필을 하고 있다.



연구와 저서
「자크 라캉(Jacques Lacan)의 이론에 기초한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연구」 (2013)
『몸, 소통, 치유』 (몸문화연구소 편 공저, 2015)
「노인 우울에 대한 정신분석적 통합예술치료 집단사례연구와 그 의미」 (공동연구, 2017)
「히스테리 분석의 종결의 의미: 분석가와의 분리와 자신과의 분리」 (2018)
『정신분석 미술치료에로의 초대』 (2019. 8. 근간)